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노벨 생리의학상 — 면역계의 ‘자가 공격 방지 시스템’을 밝히다. Mary E. Brunkow, Fred Ramsdell, Shimon Sakaguchi 수상

by j120 2025. 10. 6.

1. 수상자 및 연구 배경

2025년 노벨 생리의학상(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Mary E. Brunkow, Fred Ramsdell, 그리고 Shimon Sakaguchi 세 과학자에게 돌아갔습니다.


▲ 면역 관용(peripheral immune tolerance) 메커니즘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이미지

 

이들은 면역학의 가장 근본적인 질문인

“면역계는 왜 우리 몸을 공격하지 않을까?”

에 대한 해답을 제시했습니다.

이들이 규명한 ‘말초 면역 관용(peripheral immune tolerance)’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이 자가 조직(Self) 을 공격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핵심 원리입니다.


🧠 2. 말초 면역 관용이란?

▲ 면역 관용: 자가세포를 공격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면역 조절 과정

면역계는 외부 침입자(바이러스, 세균 등)는 공격하지만,
우리 자신의 세포는 공격하지 않도록 ‘면역 관용’ 메커니즘을 가집니다.

이 면역 관용에는 두 가지 단계가 있습니다.

1️⃣ 중앙 관용 (Central tolerance)
: 흉선이나 골수에서 자가반응이 강한 세포를 제거하는 1차 필터

2️⃣ 말초 관용 (Peripheral tolerance)
: 위 필터를 통과한 세포 중 일부를 다시 조절·억제하는 2차 방어선

말초 관용은 특히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 Treg)’ 라는 특수한 면역세포가 담당합니다.
이 T세포는 ‘면역 반응의 브레이크’ 역할을 하며,
면역 과잉 반응을 막아 자가면역질환을 예방합니다.


🔬 3. 수상자들의 핵심 발견

연도연구자주요 발견의의
1995 Shimon Sakaguchi 조절 T세포(Treg)의 존재 제시 면역 억제 메커니즘의 존재를 처음 제시
2001 Mary E. Brunkow, Fred Ramsdell FOXP3 유전자 돌연변이 발견 FOXP3 유전자가 면역 조절에 핵심 역할을 함을 입증
2003~ Sakaguchi 연구팀 FOXP3가 조절 T세포 기능의 중심이라는 사실 규명 말초 면역 관용 메커니즘 완성

💊 4. 이 연구가 바꾼 의학의 흐름

🔹 자가면역질환 치료의 새로운 길

조절 T세포의 기능을 강화하면,
류머티즘, 1형 당뇨병, 다발성경화증(MS) 등의 치료 가능성이 열렸습니다.

🔹 암 치료 전략의 전환점

암세포는 조절 T세포를 이용해 면역 공격을 회피합니다.
이를 차단하거나 조절하면 면역항암제의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 조절 T세포(Treg)는 암세포의 면역 회피에 핵심 역할을 합니다.

🔹 장기이식 분야의 혁신

공여자의 장기를 공격하지 않게 면역 관용을 유도하면,
이식 후 면역억제제를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었습니다.


🌍 5. 미래 전망과 의의

이번 발견은 단순히 면역학의 진보를 넘어,
‘자기(Self)’를 인식하고 조절하는 생명 시스템의 이해로 확장됩니다.

  • 향후 자가면역질환 맞춤형 치료제
  • 암 면역치료 병용요법
  • 이식 관용 유도 치료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초로 활용될 것입니다.

✨ 6. 마무리 — 인류의 면역학이 한 단계 도약하다

2025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면역계의 조절 원리”를 밝힌 공로에 대한 찬사입니다.

🌿 우리가 병에 걸리지 않고,
스스로의 세포를 지켜내는 이유를 밝혀낸 발견.

이 연구는 인간의 몸속에서 일어나는 ‘보이지 않는 조화’ 를 과학적으로 해석한
21세기 면역학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